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성숙한 태도 때문에 고로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를 좋아한다. 카메라는 계절이 지나 베란다의 자란 이파리들을(아무도 모른다), 몇 년 만에 아들이 다시 찾아온 아버지의 집 계단(걸어도 걸어도)을 살핀다. 사건을 이야기하는 영화는 많지만, 사건을 둘러싼 시간을 부드럽게 다루는 영화는 흔하지 않다. 단순한 일로만 여겨졌던 사건은 곧 주인공들이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 의사의 실수로 서로 다른 집안의 아이가 바뀌거나(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배 다른 네 자매가 한 집에 모여 사는(바닷마을 다이어리) 일이 갈등의 연속인 막장드라마로 빠지지 않는 이유다. 자전적인 소재를 주로 다루는 그의 영화를 보는 동안, 나는 삶을 함께 살면서 견디는 느낌을 받는다. 사건은 해결이 중요하지만, 시간은 멈출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
최근 극장에서 위와 비슷한 경험을 하였다. <우리들>은 시간이 지나 잊혀질 수 있는 어린 시절을 관객에게 섬세하게 드러낸다. 어른이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었냐고, 안색이 좋지 않다고 물어보아도 아무 대답도 못했던 그 어리숙한 시기 말이다. 옷차림을 이유로 왕따를 시키고, 칠판에 나만 아는 사실을 폭로하는 교실의 현장에서 친구는 꼭 필요했다. 하지만 공들여 시작하다가도 한 순간에 망가지는 관계를 이해하기에 그 때는 너무 어렸고, 몸으로 겪는 대가는 치명적이다. 우리가 '좋던 시절'이라고 회상하던 순간들은 사실 전부 잔인했다. 그 땐 교실 밖으로 도망칠 수도 없었고 어른들은 아이들이 싸우면서 큰다고 생각했다. 5월의 "우리들"은 푸르지 않았다. "왜 말을 안해?"라고 물어보면서 아이를 이해 못할 존재로 보던 부모님과 선생님에게 <우리들>은 완벽한 대답이다. 감독은 어른이 되어서도 고민한 끝에 이 영화를 건져냈다.
단순히 '누구나 어렸을 때 겪는 이야기'로 치부할 수 없기에 영화를 보는 내내 마음을 졸였다. 어른은 아이들 사이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 다시 한 자리에서 모여서 웃는 장면은 없다. 가해자에 대한 몰이로 끝내기에는 피해자와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좁은 교실 안에서계속 바뀌는 관계는 누가 더 옳고 그른지 가치판단을 할 수 없게 만든다. 우리가 생각하는, 아무런 고민 없이 행복하게 등하교하는 일반적인 초등학생의 모습은 전혀 찾을 수 없다. 너무 당연하게, 아무 문제 없이 지나갔을 시간을 다시 돌아가는 경험은 쉽게 할 수 없다. 모든 관객에게 영화 <우리들>은 삶의 어느 순간도 가볍지 않았던 우리 인생을 보여준다.
'방 구석 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글북]에 대한 짧은 생각 (0) | 2016.06.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