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성숙한 태도 때문에 고로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를 좋아한다. 카메라는 계절이 지나 베란다의 자란 이파리들을(아무도 모른다),  몇 년 만에 아들이 다시 찾아온 아버지의 집 계단(걸어도 걸어도)을 살핀다. 사건을 이야기하는 영화는 많지만, 사건을 둘러싼 시간을 부드럽게 다루는 영화는 흔하지 않다. 단순한 일로만 여겨졌던 사건은 곧 주인공들이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 의사의 실수로 서로 다른 집안의 아이가 바뀌거나(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배 다른 네 자매가 한 집에 모여 사는(바닷마을 다이어리) 일이 갈등의 연속인 막장드라마로 빠지지 않는 이유다. 자전적인 소재를 주로 다루는 그의 영화를 보는 동안, 나는 삶을 함께 살면서 견디는 느낌을 받는다. 사건은 해결이 중요하지만, 시간은 멈출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

최근 극장에서 위와 비슷한 경험을 하였다. <우리들>은 시간이 지나 잊혀질 수 있는 어린 시절을 관객에게 섬세하게 드러낸다. 어른이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었냐고, 안색이 좋지 않다고 물어보아도 아무 대답도 못했던 그 어리숙한 시기 말이다. 옷차림을 이유로 왕따를 시키고, 칠판에 나만 아는 사실을 폭로하는 교실의 현장에서 친구는 꼭 필요했다. 하지만 공들여 시작하다가도 한 순간에 망가지는 관계를 이해하기에 그 때는 너무 어렸고, 몸으로 겪는 대가는 치명적이다. 우리가 '좋던 시절'이라고 회상하던 순간들은 사실 전부 잔인했다. 그 땐 교실 밖으로 도망칠 수도 없었고 어른들은 아이들이 싸우면서 큰다고 생각했다. 5월의 "우리들"은 푸르지 않았다. "왜 말을 안해?"라고 물어보면서 아이를 이해 못할 존재로 보던 부모님과 선생님에게 <우리들>은 완벽한 대답이다. 감독은 어른이 되어서도 고민한 끝에 이 영화를 건져냈다. 

단순히 '누구나 어렸을 때 겪는 이야기'로 치부할 수 없기에 영화를 보는 내내 마음을 졸였다. 어른은 아이들 사이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 다시 한 자리에서 모여서 웃는 장면은 없다. 가해자에 대한 몰이로 끝내기에는 피해자와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좁은 교실 안에서계속 바뀌는 관계는 누가 더 옳고 그른지 가치판단을 할 수 없게 만든다. 우리가 생각하는, 아무런 고민 없이 행복하게 등하교하는 일반적인 초등학생의 모습은 전혀 찾을 수 없다. 너무 당연하게, 아무 문제 없이 지나갔을 시간을 다시 돌아가는 경험은 쉽게 할 수 없다. 모든 관객에게 영화 <우리들>은 삶의 어느 순간도 가볍지 않았던 우리 인생을 보여준다.


'방 구석 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글북]에 대한 짧은 생각  (0) 2016.06.29


제작사 디즈니의 프로젝트는 동물이 사람의 말을 하는 장면을 애니메이션이 아닌 실사로 구현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오늘날의 기술이 한 곳으로 응집되어 만들어진 영화가 <정글북>이다. 블루스크린 앞에서 혼자 연기를 하는 아이를 상상한다면, 눈 앞에 생생한 정글의 모습 자체가 커다란 볼거리이다. 털 느낌까지 살아있는 동물이 대사를 할 수 있게 되면서, 영화는 외계인 없이도 타자를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30년 전의 영화 시리즈를 다시 살린 <혹성탈출>이 있다. 오랑우탄, 아니 "히어로" 시저가 장엄하게 "NO"를 인간에게 외치는 순간. 그리고 인간이 생체실험을 위해 만든 기업 건물, 인간의 편리함을 위해 만든 다리에 시저 무리가 등장한다. 두 편에 걸쳐, 그들은 침입자에서 지배자가 되려 한다

속편이 이미 예정되어있다는 <정글북> 역시 타자에 대한 이야기다. 다만 앞의 예와 달리, 이번에는 동물의 세계에 인간이 태어났다. 인간의 무기(이성)를 이용했던 시저와는 달리, 모글리는 동물의 무기를 가질 수 없다. 대신 도구를 사용하는, '호모 사피엔스' 의미 그대로의 행동을 할 뿐이다. 어엿한 애인이 있는 타잔과는 달리 모글리는 어리다. 즉, 쉬어칸의 말 그대로 어른이 된 모글리는 나무를 베고 동물들을 사냥할 능력을 갖춘다. 모글리를 위협하는 쉬어칸을 영화는 악의 축으로 보지만, 그의 추측에는 분명한 근거가 있다. 당장, 모글리의 아버지로부터 불의 공격을 받아 얼굴에 난 흉터가 있다. 모글리 입장에서는 인간이 생태계를 망치는 악이다. 

<혹성탈출>은 인류보다 능력이 뛰어난 종이 등장하여 지구를 정복한다는 현실적인 공포감이 기반에 깔려있다. 반면 <정글북>에서 가장 문명의 영향을 받지 않은 모글리는 야생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다. 약간의 기만과 함께, 모글리는 영원한 정글의 친구다. 도구를 쓸 줄 알고 불을 발견해도, 모글리는 여전히 동물 무리 안에서 살아간다. 그것이 모글리가 인간의 무기(이성)을 발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음 속편이 시간이 지나 어른이 된 모글리가 정글의 수호자가 되었다는 줄거리라면, <정글북>의 정글은 결국 어린 아이들이 심심할 때 펴보는 플립북처럼 우리 손 안에서 놀아나는 환경일 뿐이다.

'방 구석 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들]에 대한 짧은 생각  (0) 2016.06.30

'지구에서 살아남기'


시간이 지나면 나아진다는

너의 말은 전부 틀렸어

사람들은 다들 어디로 가고 있는데

나는 혼자 조용히 사라지는 중이야


하루 동안 먹은 음식들을

수첩에 빠짐없이 적고 나면

그래도 어지간히 살아있구나 생각해

이만큼 소화할 수 있는 힘이 남았으니까


정작 모두가 잠든 밤에 최대한

깨어있기 위해서 차가운 물을 마셔

이렇게 하면 창 밖의 세상과 조금 더

친해지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하지만 밤은 어둡고 아득해서 

나의 시도는 번번히 실패로 돌아가고

그렇게 지구는 내 편이 아니구나

어제 깨달았던 걸 다시 확인하고 잠이 들겠지


내일은 어깨에 총 대신 카메라를 메고

종잡을수 없는 세상에 상처를 줄거야

나만 아는 순간들을 수첩에 꽂아 놓으면서

방에서 혼자 깔깔대면서 웃어야지


그게 지구에서 살아남는 나만의 방식이야

+ Recent posts